사실 요즘 영화들도 그런 경우 많긴한데
(당연할수밖에, 지금 촬영하는 촬영감독들이 뭘 보고 공부하고 뭘 좋아하고 따르는지 생각해보면........)
영화를 촬영할때 최고급의 고가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는데도 소위 말하는 "선명한 고화질"이 아닌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건 필름 자체에 발생하는 현상인 그레인 (노이즈와는 비슷한듯 다름)으로 인해 화면에 입자가 자글자글 끼는 현상,
와이드스크린 화면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판형보다 더 넓게 찍을수 있는게 특징인 아나모픽 렌즈를 사용하는데
그 아나모픽렌즈의 특징이 흐려지는 주변부, 칼같은 선명함이 아닌 부드러운 영상을 만듦 등이 주인지라
소위 말하는 칼같은, 영상 테크데모같은 화질과는 거리가 먼 분위기의 영상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물론 그런 화질을 추구하는 영화들도 많다. 탑건 매버릭/ F1 / 아바타2같은 영화들이 예시.
렌즈군에 있어서도 마스터프라임 제품군같은 경우는 "정직하게 선명한" 영상을 찍을수 있게 해준다고 하고.
35mm필름에 아나모픽을 대는게 아니라 그냥 깡 체급 자체가 한수위인 70mm필름으로 찍어서 아나모픽 렌즈를 안쓰는 경우도 가능하다.
사족으로 70mm필름에조차 기어코 아나모픽렌즈를 대고 찍으면 2.76:1의 괴물 와이드스크린이 나온다(.....)
이건 뭐 기술의 부족 혹은 그냥 안고가는 결함이라고 말하겠다면 할수도 있겠지만
그 역시도 미학적 선택, 포용인 지점도 분명히 있기 때문에 어떻게 말하고 평가하기에는 조금 조심스러운 점이 있다
(블루레이 커뮤니티에선 거의 반쯤 주적이 된 피터 잭슨/제임스 카메론의 구작 필름영화 4k 블루레이 리마스터)
물론 필름 그레인, 렌즈 특징 등을 화질의 일부이자 영상의 의도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다른쪽에서는 중요하지 않은것 , 그걸 넘어서 적극적으로 거슬리는것 취급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아무래도 말끔한 영상이 제일 평범하게 좋다고 다가갈수는 있겠다.
모든 사람들이 시네필이요 블루레이 커뮤니티 유저는 아니니까.
(IP보기클릭)219.255.***.***
뭐 필름의 특징이고 디지털의 특징이고를 떠나서 그냥 아 이 자글자글 뭐에요 소리날건 다 갸가 갸일순 있지 ㅋㅋㅋ
(IP보기클릭)219.255.***.***
고마워 오늘 좀 울적했는데 기운난다
(IP보기클릭)61.39.***.***
이런 글 좋아.
(IP보기클릭)219.255.***.***
오히려 정말 화질적인 측면에서 가장 수준낮은 영화들?은 디지털카메라 초창기 개발시기때 영화들임 스타워즈 프리퀄이나 콜래트럴, 아바타1같이 아예 촬영소스부터 1080p가 최대라 뭘 더 좋게만들기도 어려운 영상들
(IP보기클릭)219.255.***.***
근데 그 당시 최고의 도구들은 지금도 딱히 도태되지 않았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5mm 필름 + 아나모픽 렌즈로 찍은 2025년도 따끈따끈 최신작!
(IP보기클릭)61.39.***.***
이런 글 좋아.
(IP보기클릭)219.255.***.***
고마워 오늘 좀 울적했는데 기운난다 | 25.07.03 14:58 | | |
(IP보기클릭)58.76.***.***
(IP보기클릭)219.255.***.***
뭐 필름의 특징이고 디지털의 특징이고를 떠나서 그냥 아 이 자글자글 뭐에요 소리날건 다 갸가 갸일순 있지 ㅋㅋㅋ | 25.07.03 14:52 | | |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219.255.***.***
???? : 필름 그레인이 없어진게 거슬려요? 그러면 엄마 집에서 쳐 나와서 사람을 만나야 돼요 | 25.07.03 15:01 | | |
(IP보기클릭)106.101.***.***
떼잉... 그냥 원작이나 틀어야지 | 25.07.03 15:02 | | |
(IP보기클릭)1.214.***.***
(IP보기클릭)219.255.***.***
??? : 그런거 모르겠고 그냥 보기좋게 전부다 쨍하고 선명하게 찍는게 최고아님? | 25.07.03 15:02 | | |
(IP보기클릭)1.214.***.***
미술에서 현실의 모사를 추구하던 사실주의에서 현실을 그대로 박제하는 사진의 등장으로 해체주의가 등장했듯이 영상의 화질이 엄청나게 좋아지면서 그만큼 감독의 선택에 깔린 의도가 중요해졌다고 볼 수가 있는거라... 쨍하고 선명한 영상이 곧 감동이 되는게 아니니까 가끔 직접 나서서 자기 영화 리마스터 하는 양반들이 또 없는것도 아니고 ㅋㅋ | 25.07.03 15:11 | | |
(IP보기클릭)59.12.***.***
(IP보기클릭)211.36.***.***
(IP보기클릭)219.255.***.***
디비디프라임 같은곳 가보셈 제임스 카메론은 이름만 올라와도 아주 게시글 행복해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5.07.03 15:03 | | |
(IP보기클릭)211.36.***.***
ㅋㅋㅋ | 25.07.03 15:04 | | |
(IP보기클릭)219.255.***.***
피터 잭슨의 반지의제왕 리마스터도 말 되게 많았던 편, 그래도 종합적으로는 잘 나왔다는 평이지만 그레인 전부 매끈하게 뭉개버리는? 작업방식은 비틀즈 다큐멘터리때 한번 제대로 불판났었음 그리고 피터 잭슨과 제임스 카메론은 같은 업체를 끼고 작업한다 | 25.07.03 15:04 | | |
(IP보기클릭)121.159.***.***
(IP보기클릭)211.36.***.***
(IP보기클릭)219.255.***.***
ㄴㄴㄴ 루리웹 10년 그외 인터넷 영화커뮤 10년 정도만 시간을 바치면 이정도 뻘글은 누구나 가능해 | 25.07.03 15:05 | | |
(IP보기클릭)211.36.***.***
도합 20년의 짬밥.... | 25.07.03 15:22 | | |
(IP보기클릭)219.255.***.***
"둘을 같이 10년" | 25.07.03 15:28 | | |
(IP보기클릭)118.129.***.***
(IP보기클릭)219.255.***.***
리들리 스콧 영화는 디지털 시대 와서는 그냥 건조하고 정직하게만 찍는거같더라 예전 킹덤오브 헤븐, 글래디에이터때 감각이 그립기도함 실제로 그때 촬영감독이 글래디에이터2도 같이하고나서 "아 스콧 이양반 그시절에 비해서 개날림으로 찍음" 하고 들이박았다가 차기작 같이안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5.07.03 15:07 | | |
(IP보기클릭)211.234.***.***
잭스나이더랑 비슷하게 스타일이 바뀐듯 ㅋㅋ 개인적으로 고 토니스콧 감독 특유의 디테일, 화면색감이 참좋았는데 ㅠㅠ | 25.07.03 15:30 | | |
(IP보기클릭)121.159.***.***
(IP보기클릭)112.162.***.***
(IP보기클릭)219.255.***.***
근데 그 당시 최고의 도구들은 지금도 딱히 도태되지 않았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5mm 필름 + 아나모픽 렌즈로 찍은 2025년도 따끈따끈 최신작! | 25.07.03 15:08 | | |
(IP보기클릭)219.255.***.***
오히려 정말 화질적인 측면에서 가장 수준낮은 영화들?은 디지털카메라 초창기 개발시기때 영화들임 스타워즈 프리퀄이나 콜래트럴, 아바타1같이 아예 촬영소스부터 1080p가 최대라 뭘 더 좋게만들기도 어려운 영상들 | 25.07.03 15:09 | | |
(IP보기클릭)211.234.***.***
필름은 8k까지 리마스터가 가능하다던가 ㅋㅋ | 25.07.03 15:20 | | |
(IP보기클릭)219.255.***.***
애초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거니까 캡처기기만 좋다면 35mm필름도 뭐 8k고 12k고 딸수있겠지 근데 실질적으로 화질은 4k수준이라 더 높게 따봐야 의미가 없는거지... | 25.07.03 15:28 | | |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175.125.***.***
(IP보기클릭)219.255.***.***
그렇지? 근데 4k리마스터판은 굉장히 많이 없앴음 | 25.07.03 15:27 | | |
(IP보기클릭)211.246.***.***